본문 바로가기
개인공부

getBean() 메서드 사용하기

by 요리하다그만둠 2022. 7. 29.

A(부품)에서B(부품)로 교체할때 클라이언트 소스를 수정하지 않고 교체할수 있으면 유지보수가 번거롭지 않고 편리해질 것입니다.

이를 위해 Factory 패턴을 적용하는데 Factory패턴은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할 객체 생성을 캡슐화하여 C(본채)와 A,B 사이를 느슨한 결합 상태로 만들어 줍니다.

BeanFactory 사용 예

public BeanFactory{
	public Object getBean(Stirng beanName) {
    if(beanName.equals("A"){
    	return new A(); // A가 맞다면 생성자 B 생성
    }else if(beanName.equals("B")){
    	return new B(); // B가 맞다면 생성자 B 생성
        }
    return null; // beanName에 원하지 않는 값이 들어오면 null반환
}


public class C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eanFactory bF = new BeanFactory();
    // D = interface 
    D d = (D)factory.getBean(args[0]);
 	// args에 A or B를 입력해주면됨   
    }
    
}

'개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ven  (0) 2022.08.26
jdbc docker 연동오류.docker ip확인하기  (0) 2022.08.08
Docker Tomcat mysql 환경 구성  (0) 2022.08.08
STS 예제 진행  (0) 2022.08.04
트랜잭션(Transaction)  (0) 2022.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