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영어로는 Variable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컨테이너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앞에 int라고 쓰여있는 것이 데이터의 형식이고 a는 변수의 이름입니다. = 1은 a라는 변수에 1을 대입해준 것이고
;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int a =1이라는 것을 선언한 것입니다.
숫자형에는 ''.""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문자나 문자열을 사용할 때는 꼭 사용해줘야 합니다.
또한 문자열 타입에 변수에 숫자를 저장한다고 10은 숫자가 아닌 문자열로 인식하기 때문에 ""를 사용해줘야 합니다.
a+b 는 3이 나오지만 aa+a 는 101이 출력됩니다 또한 aa+a+b는 1012라고 출력이 되는데 이는 문자열 뒤에 숫자를 더해주면 그냥 문자열로 인식해서 10 + 1 + 2가 출력이 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숫자는 따로 ( )로 감싸줘서 먼저 계산 후에 붙이도록 해줍니다 aa + (a+b)는 "10" + "3"로 인식해서 103이 됩니다.
문자열 타입의 변수에 문자를 사입 후에 출력하면 값이 잘 나옵니다.
변수 선언을 안 쓰고 그냥 문자열을 삽입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로는 간단하게 예를 들자면
변수가 없다면 코드 작성이 이런 방식으로 되어야 하고 100을 다른 수로 바꿔주어야 할 때 모든 코드를 바꾸면 되지만
100을 int a로 해서 값을 넣는다면 a변수에 해당하는 값만 변경해주면 됩니다.
즉 수정해야 할 코드가 적어지고 그것은 그만큼 해야 할 일이 줄어든다는 의미고, 그 과정에서 버그가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