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프로그래밍 책으로 공부하였습니다.
1.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main() 메서드의 선언부에 관한 것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이란 문제인데
1.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2.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3.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
4.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처음에는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이런 형식만 봐서 이해를 못 했는데 나중에 공부 후에 위에 문제의 답을 알게 되었습니다.
프로그램 실행 시 시작점이 되는 main() 메서드의 매개변수는 반드시 배열 형태로 []을 넣어줘야 하는데 []을 어디에 넣어주어도 모두 같은 배열 문자열을 나타내며 매개변수도 변수여서 이름이 달려져도 큰 상관없지만 [] 없으면 작동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잘못된 것은 4번이 되겠습니다.
2.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변수 tel을 본인 전화번호를 값으로 갖는 변수를 선언하시오
- 전화번호를 저장할 변수와 자료형을 알맞게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코드
public class 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tel = "010-1234-5678";
문자열타입 변수 =(초기화) "값";
}
}
3.
다음 중 강제 형 변환 코드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은?
int a = 3.14;
int b = 3f;
float c = 3d;
double d = 3L;
int 자료형은 float형보다 더 넓은 범위이기 때문에 3.14 앞에 (int)를 붙여 강제 형 변환을 해줘야 한다.
4번 같은 경우는 long 자료형은 double 자료형 변수로 대입하고 있는데 double자료형은 long형보다 범위가 넓기 때문에
형 변환을 안 해도 괜찮다. 그러므로 답은 double d = 3L;이다.
4.
코드의 실행 결과를 작성하시오.
double a = 3.141562;
int b = (int)a;
System.out.println(b);
실행하면 답은 3이 출력된다.
이유는 int는 정수형이라 실수형인 3.14 1562를 강제로 형 변환해주게 되면 정수형인 int 소수점 값들을 담을 수 없어
담을수 없는 값들은 모두 손실되어서 3 빼고는 모두 사라진다.
5.
코드 결과는?
public class 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var = 7 -1 * 20/5 ;
System.out.println(var);
}
}
기본적인 연산 문제이다. +- 보다는 */가 좀 더 우선순위를 갖는다.
그러므로 7 - 1 * 4 가 먼저 되고 7 -4 다되어 값은 3이나 온다.
6.
한 반에 27명인 학급이 있다, 미술 수업을 위해 색연필을 5 다스를 받았다면, 각 학생에게 나누어 줄 수 있는 색연필 수와 나눠주고 남은 색연필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고자 한다. 아래 코드에서 빈칸에 들어갈 내용은?
public class 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colorPen = 5 * __ ;
int studentCount = 27;
int divColorPen = __;
System.out.println("학생당 나눠가지는 색연필수 :" + divColorPen);
int remainColorPen = __;
System.out.println("똑같이 나눠가지고 남은 볼펜수 :" + remainColorPen);
}
}
1 다스는 12이므로
5 * 12
총색연필은 60자루이고
60 / 27 은 2가 나오며
남은 볼펜수는 60 % 27을 하면 6이나 온다.
그러므로 값은 12, 2, 6이 됩니다.
7.
아이와 함께 놀이동산에 놀러 가서 롤러코스터를 타려고 하는데, 안내 문구가 아래와 같이 적혀 있다.
1) 6세 이상 탑승 가능(단 키가 120cm 이상이면 보호자 동반하에 탑승 가능)
2) 키 120cm 이상 탑승 가능
3) 심장 관련 질환자 탑승 불가
나이 변수 age, 키는 height, 보호자 동반 여부는 parent, 심장질환 여부는 hearchDease라고 지정하고 조건식을 작성
public class 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변수 선언
int age = 10;
int height = 120;
// 부모님.병의 여부만 알면되어 논리형 사용
boolean parent = true;
boolean hearchDease = false;
|| = 둘중 하나만 가능이어도 true
&& = 한개라도 다르면 false 출력
System.out.println("나이6세이상, 키120cm이상 탑승 가능합니다.");
if((age >= 6 && height >= 120)
|| (height >=120 && parent == true)
&& hearchDease ==false ) {
System.out.println("탑승 가능합니다.");
}else {
System.out.println("탑승 불가능 가능합니다.");
}
}
}
'JAVAE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anner 클래스 이용해서 실습 (0) | 2022.06.09 |
---|---|
간단한 예제 (0) | 2022.06.02 |
간단한 반복문 예제01 (0) | 2022.06.02 |
변수 간단한 실습 문제 (0) | 2022.06.02 |
기본 API 객체 비교(equals()) (0) | 2022.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