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 형으로 변수 선언
kor 국어 점수
eng 영어점수
mat 수학점수
tot 총점
avg 평균
String 형으로 변수 선언 name
출력 양식
이름 : 홍길동
국어 점수 :
영어점수 :
수학 점수 :
총점 :
평균 :
//평균이 90점 이상이면 우수 출력 아니면 미흡 출력
public class Ex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kor = 100; int eng = 90; int mat = 80;
int tot =(kor + eng + mat);
int avg = tot/3;
String name = "홍길동";
System.out.println("name : " + name);
System.out.println("kor : " + kor);
System.out.println("eng : " + eng);
System.out.println("mat : " + mat);
System.out.println("tot : " + tot);
System.out.println("avg : " + avg);
if(avg >= 90) {
System.out.println("평균우수");
}else {
System.out.println("평균미흡");
}
}
}
< == 출력 결과
02
- 조건문 사용
[실습문제]
2. 변수 국어점수, 영어점수, 수학점수, 총점, 평균, 이름, 학점
3. kor, eng, mat, tot, avg , name. grade
4. 국어점수, 영어점수, 수학점수를 변수에 알아서 대입 후
총점과 평균 구하시오
5. 조건문 IF 평균이 60점이상이면 'P' 아니면 'F'
출력 결과
이름 : 홍길동
국어점수 : 80
영어점수 : 80
수학점수 : 80
총점 : 240
평균 : 80 or 80.0 둘 줄에 알아서 설정
합격여부 : P or F
public class Ex0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kor = 80; int eng = 80; int mat = 80;
int tot =(kor + eng + mat);
int avg = tot/3;
String name = "홍길동";
String grade;
if(avg >= 80) {
grade = "P";
}else {
grade = "F";
}
System.out.println("name : " + name);
System.out.println("kor : " + kor);
System.out.println("eng : " + eng);
System.out.println("mat : " + mat);
System.out.println("tot : " + tot);
System.out.println("avg : " + avg);
System.out.println("grade : " + grade);
}
}
03
2. 변수 국어점수, 영어점수, 수학점수, 총점, 평균, 이름, 학점
3. kor, eng, mat, tot, avg , name. grade
4. 국어점수, 영어점수, 수학점수를 변수에 알아서 대입 후
총점과 평균 구하시오
5. 조건문 IF 평균이 60점이상이면 "P" 아니면 "F"
단 평균이 60점 이상 인데 한 과목이라도 40점 미만이면 불합격
public class Ex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변수를 선언해줌
int kor = 80; int eng = 80; int mat = 20;
int tot =(kor + eng + mat);
double avg = tot/3;
String name = "홍길동";
String grade; // or char grade;
// 조건에 평균이 넘어도 한과목 점수가 40이하면 F가 출력해야해서 &&사용
if(avg >= 60 && kor >=40 && eng >=40 && mat >=40) {
grade = "P";
}else {
grade = "F";
}
System.out.println("name : " + name);
System.out.println("kor : " + kor);
System.out.println("eng : " + eng);
System.out.println("mat : " + mat);
System.out.println("tot : " + tot);
System.out.println("avg : " + avg);
System.out.println("grade : " + grade);
}
}
1. jumsu 대입 0~100점 사이만 점수 입력...
조건문을 이용해서 이 범위가 아니면
점수 잘못 입력 정상적인 점수면 출력...
public class Jumsu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jumsu 대입 0~100점 사이만 점수 입력...
조건문을 이용해서 이 범위가 아니면
점수 잘못 입력 정상적인 점수면 출력...
* */
int jumsu = 150;
if(jumsu > 100 || jumsu<0) {
System.out.println("잘못된 점수입니다.");
}else {
System.out.println(jumsu);
}
}
}
!!2. 국어, 영어 점수 대입 0~100점 사이면 총점을 출력하고
이 점수 범위가 아니면 "잘못된 점수 입력 출력"
public class Jumsu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 국어, 영어 점수 대입 0~100점 사이면 총점을 출력하고
* 이 점수 범위가 아니면 "잘못된 점수 입력 출력"
*/
int kor = 100;
int eng = 70;
int mat = 70;
각각 조건을 걸어줌 && = 하나라도 다르면 false 출력 하지만
||는 한개만 같아도 true 출력해줍니다.
if (kor < 0 || kor > 100 || eng < 0 || eng > 100 || mat < 0 || mat > 100) {
System.out.println("점수 잘못 입력");
} else {
System.out.println("총점 :" + (kor + eng + mat));
}
}
}
비슷한 문제를 응용하면서 하니까 금방 익수해지는듯 합니다.
'JAVAE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anner 클래스 이용해서 실습 (0) | 2022.06.09 |
---|---|
간단한 예제 (0) | 2022.06.02 |
간단한 반복문 예제01 (0) | 2022.06.02 |
자바 연습 문제, 예제 (0) | 2022.05.29 |
기본 API 객체 비교(equals()) (0) | 2022.05.27 |